본문 바로가기
워드프레스

아바다 스킨을 사용한다면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라

by 마자동 2021. 6. 19.
반응형

아바다 스킨을 사용하고 워드프레스를 꾸려나가고 있다. 조금 익숙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을 하지 않는다. 나름 괘 이제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아래의 동영상이 많이 도움이 되었다. 물론 영어이긴 한데.. 

 

https://www.youtube.com/channel/UC_C7uAOAH9RMzZs-CKCZ62w

 

ThemeFusion

Creators of the Avada Website Builder, the #1 selling WordPress Theme on Themeforest https://bit.ly/2HzsArP

www.youtube.com

 

아바다 공식 유트브 채널이다. 여기에서 모든 옵션 기능들을 설명해준다. 물론 잉글리시 ~ 

가끔 짬짬히 시간 빌 때 보곤 했는데 아바다 활용에 큰 도움이 되었다. 어디가서 배울때도 없어서.. 아바다 스킨을 사용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반응형

 

아바다 라이브러리란? 

아바다가 아닌 다른 유료스킨 혹은 무료 스킨에도 라이브러리 기능은 있다고 본다. 나는 아바다만을 사용해서 아바다를 설명하는데 다른 스킨도 분명 같은 기능이 있을 것이다. 왜냐면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에도 비슷한 기능이 있으니까 ~ 

 

짧게 설명하자면 자주 쓰는 글 구성을 저장해두고 필요할 때  버튼 몇번으로 가지고 오는 기능이다. 

 

워드프레스의 기본 구조는 템플릿 > 컨테이너 > 컬럼 > 엘리먼트로 구성되어 있다. 아바다 라이브러리는 각 구조별로 별개의 라이브러리를 만들 수 있다. 잘 활용한다면 글 쓸 때 시간을 1/3로 단축시켜 준다. 

아바다 라이브러리를 만들 수 있는 단위

 

예를 들어보면 워드프레스의 경우 차트도 만들 수 있고 그래프도 만들 수 있다. 어떤 분야에 대해 쉽게 설명 가능한 그래프 틀을 라이브러리에 등록해 놓고 새 글을 쓸때마다 가지고 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자면 매주 모바일 게임 차트를 넣은 포스팅을 작성하고자 한다면 매번 차트나 그래프를 그릴 거 없이 라이브러리에 표본을 만들어놓고 매번 포스팅할때마다 가지고 와서 숫자만 바꿔주면 된다는 말과 같다. 

 

이런 기능을 크게는 템플릿 단위 작게는 각 유닛(=엘리먼트)단위로 만들어 놓고 가져다가 쓰면 된다는 것이다. 자바의 객체지향 개념과 비슷하달까.. 레고 조립할 때 자주 쓰는 모양을 만들어놓고 여러 군데 가져다 쓴다고 생각하면 쉽게 와닿을까

 

 

쉽게 만들어본 라이브러리

쉽게 각 h 태그와 콘텐츠 묶음으로 칼럼을 만들어 놓을 수도 있고 템플릿 단위로 포스팅 전체를 복사 붙여 넣기와 같은 개념으로 새 글에 넣을 수도 있다. 

 

이 방식이 적응된다면 하루에 글 10개는 우습게 쓸 수 있다. 물론 유입은 개인 역량! 

 

h3 제목과 콘텐츠로 이루어진 컬럼 라이브러리

위와 같이 라이브러리에 미리 만들어놓고 h3형식의 콘텐츠를 추가할 곳이 있다면 버튼 몇 번으로 추가가 가능하다. 기본적인 부분이다. 

 

 

라이브러리 글로벌 옵션

글로벌 옵션으로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려면 체크박스를 체크하면 된다.

아바다 스킨에는 글로벌 옵션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어떤 라이브러리를 변경하고 싶은데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페이지 또는 포스팅의 수가 어마어마하게 많을 때 티스토리라면 아마도 하나씩 하나씩 장인정신으로 변경해줘야 한다.

 

아바다의 경우 라이브러리의 글로벌 옵션을 사용하면 기존에 작성된 모든 글 또는 페이지의 해당 라이브러리의 콘텐츠가 모두 한 번에 변경된다. 물론 해당 라이브러리는 글로벌 옵션이 체크되어 있어야 한다.

 

환상적인 기능이다. 예를 들어 h3 태크의 이미지나 색상을 변경하고 싶을 때

티스토리의 경우에는 html 태그로 들어가서 변경해줘야 한다. 티스토리는 css나 html을 잘 모른다면 구성에 있어서 많은 제약을 받지만 워드프레스는 그렇지 않다. 무궁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같은 글 안에 h3 태그도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 

 

예시가 h3태그라서 그렇지 조금만 응용한다면 얼마나 쉽게 블로그의 콘셉트를 변경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구성만 잘해줘도 동일한 텍스트를 가시성 좋게 꾸밀 수 있고 완전 다른 글처럼 보이게 할 수도 있다. 라이브러리를 잘 활용한다면 시간까지 단축하면서 말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