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수익 모델/기타

맥북(파이썬 스크래핑을 위한) 크롬드라이버 설정하는 법

by 마자동 2022. 9. 8.
반응형

셀레니움을 사용한 자동 포스팅을 사용하려면 브라우저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경로를 지정해줘야 합니다.  각 브라우저마다 제공하는 드라이버가 있는데 저는 크롬드라이버를 사용하니 한번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드라이버 다운로드

크롬 드라이버는 여기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다운로드 전 본인의 크롬 브라우저 버전을 확인합니다.

설정(점3개) > 도움말 > 크롬 정보란에서 본인이 사용하는 크롬 드라이버를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항상 최신버전 업데이트로 설정 중인데 현재 업데이트가 되었나 봅니다. 해당 버전의 크롬드라이버 버전은 없어 현재 스크래핑을 못하고 있네요. 무중단 작업을 원한다면 최신 업데이트 설정을 끄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버전을 확인했다면 해당 버전의 크롬 드라이버를 다운받습니다. 

크롬 드라이버 다운로드  :https://chromedriver.chromium.org/downloads

 

ChromeDriver - WebDriver for Chrome - Downloads

Current Releases If you are using Chrome version 106, please download ChromeDriver 106.0.5249.21 If you are using Chrome version 105, please download ChromeDriver 105.0.5195.52 If you are using Chrome version 104, please download ChromeDriver 104.0.5112.79

chromedriver.chromium.org

해당 하는 버전, 본인OS 버전에 맞게 다운로드 합니다.

저는 m1 맥북이라 해당 빨간색 박스의 버전을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다운로드 받고 압축을 풀어줍니다.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

다운로드 받은 크롬 드라이버를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맥북 다운로드의 위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Users/맥북이름/Downloads 로 이동하면 다운로드 파일 확인가능합니다. cd 명령어로 이동합니다. 

해당 위치에서 압축을 푼 exe 파일을 /usr/local/bin 디렉토리로 복사합니다. 해당 위치가 루트 디렉토리입니다.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복사를 진행합니다. 

반응형

확인

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

driver = webdriver.Chrome()
driver.get('naver.com')

다음과 같이 실행해서 네이버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열린다면 드라이버 설치가 잘 된것입니다. 

반응형

댓글